오늘은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아 자폐스펙트럼 조기진단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첫 번째 날이었습니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주제 선정부터 역할 분담, 자료 조사까지의 초기 단계를 밟았습니다. 간단하게 오늘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겠습니다.
주제 선정: 가정용 소아 자폐스펙트럼 조기진단 모델 구현
프로젝트의 출발점은 명확한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었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ASD)는 조기 발견이 중요한데, 현재의 진단 방법은 전문가의 도움 없이 가정에서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도 부모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폐스펙트럼 조기진단 모델을 구현하는 것을 이번 프로젝트의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이 주제는 사회적으로 큰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도전적인 과제입니다.
자료 조사
프로젝트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 첫날은 주로 자료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주요 자료를 조사했습니다:
- 자폐스펙트럼장애(ASD) 관련 연구: 현재 자폐스펙트럼을 조기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을 분석했습니다. 특히, 초기 진단에 사용되는 지표와 방법론에 대해 깊이 있는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 기존 조기진단 모델: 이미 존재하는 조기진단 모델들을 검토하고, 그 한계와 개선점을 파악했습니다. 이로써 우리 프로젝트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더 명확해졌습니다.
- 데이터셋 확보: 공개된 ASD 관련 데이터셋을 탐색하고, 어떤 데이터가 모델 훈련에 가장 유용할지 논의했습니다.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처리할지에 대한 계획도 세웠습니다.
'ABC 부트캠프 데이터 탐험가 4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 일차] ABC 부트캠프 : 최종 프로젝트(3) (0) | 2024.08.25 |
---|---|
[32일차] ABC 부트캠프 : 최종프로젝트 (2) (0) | 2024.08.25 |
[30 일차] ABC 부트캠프: ls 프로젝트 (0) | 2024.08.17 |
[29 일차] ABC 부트캠프 : 기술나눔활동(데이터 라벨링) (0) | 2024.08.17 |
[28 일차] ABC 부트캠프 : 딥러닝 기초(2) (0) | 2024.08.13 |